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5

지구가 쌀알 모양처럼 긴 타원형 모양이라면? 지구가 지금처럼 거의 구형(정확히는 회전타원체) 대신, 쌀알처럼 긴 타원형, 즉 장축 방향으로 더 길고 단축 방향으로 더 짧은 타원체(장타원체) 형태라고 가정하면, 기후, 지형, 중력 분포, 대기 순환 등에서 매우 큰 과학적 변화가 생깁니다. 🔵 1. 중력 분포의 불균형지구가 구형이 아니고 장축이 긴 타원체라면, 지구 중심에서 표면까지의 거리가 적도와 극지점 사이에서 크게 차이납니다.중력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지표면의 중력도 지역에 따라 많이 달라지게 됩니다.결과:극지방(짧은 반지름)에서는 중력이 강해지고,적도 근처(긴 반지름)에서는 중력이 약해집니다.이는 대기의 밀도, 해수면 높이, 물의 흐름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2. 대기 순환 및 기후 변화지구의 형상이 달라지면 대기 순환 패턴도 바.. 2025. 4. 30.
2025 CFA 1차 시험 접수 방법 및 가격 금액 올해는 자격증의 해로 자의반 타의반 정해지게 되었는데그 시작은 CFA 1차와 투자자산운용사 공인중개사다.미루고 미뤄와서 지금의 내가 곤경에 처했다해도 모자라다는 판단이 들어 바로 등록하게된 CFA 앞으로의 공부 계획, 내용, 참고하면 좋을만한 점들을 기록용으로 적어볼까한다 2025년 목표1. CFA 1차 합격2. 투자자산운용사 합격3. 공인중개사 합격 (우선은 1차 목표)   우선은 CFA 시험 접수부터!글을 쓰는 지금은 2025년 2월 11일이어서 글써두고 내일 등록하려고한다.  CFA 시험 접수 사이트https://www.cfainstitute.org CFA Exam | Overview | CFA InstituteDownload CFA Program Factsheet Enter your details.. 2025. 2. 11.
금리와 캡레이트(Cap Rate)의 상관관계 상세 분석 금리와 캡레이트(Cap Rate)의 상관관계 상세 분석금리와 캡레이트(Cap Rate, 자본환원율)는 부동산 투자 수익성과 시장 흐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금리가 변동하면 부동산의 가치, 투자 수익률, 금융 비용 등이 변하기 때문에 캡레이트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집니다.1. 캡레이트(Cap Rate) 복습: 부동산 수익률 지표캡레이트(Cap Rate, 자본환원율) 는 부동산의 연간 순영업소득(NOI) 대비 현재 시장가치(부동산 가격)의 비율입니다.📌 캡레이트 공식:CapRate=NOI(순영업소득)부동산 가격×100Cap Rate = \frac{NOI (순영업소득)}{\text{부동산 가격}} \times 100CapRate=부동산 가격NOI(순영업소득)​×100✅ 캡레이트가 높을수록 → 투자 .. 2025. 2. 9.
부동산 펀드의 다양한 유형 부동산 펀드는 투자 방식, 운용 전략, 구조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뉩니다.크게 **① 공모/사모형, ② 투자 전략별(임대형, 개발형, 메자닌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1. 공모형 vs 사모형 부동산 펀드✅ 1) 공모형 부동산 펀드 (Public Real Estate Fund)✔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가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펀드✔ 금융감독원 및 자본시장법의 강한 규제를 받음✔ 유동성이 높아 쉽게 매매 가능 (ETF, 리츠(REITs) 등)📌 공모형 펀드의 특징상장 가능 (예: 리츠) → 일반 투자자도 쉽게 투자 가능투자처: 오피스, 리테일(쇼핑몰), 물류센터, 주거형 부동산 등수익 구조: 임대 수익 + 매각 차익 + 배당금금융기관의 감독을 받기 때문에 투명성 높음📌 대표적인 공모 부동산 펀.. 2025. 2. 8.
캡레이트(Cap Rate, 자본환원율) 캡레이트(Cap Rate, 자본환원율) 1. 캡레이트(Cap Rate, Capitalization Rate)란?캡레이트(Cap Rate, Capitalization Rate, 자본환원율) 는 부동산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지표로,부동산 투자 시 순영업소득(NOI, Net Operating Income)과 부동산 가격을 비교하여 수익률을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하면:부동산이 얼마만큼의 수익을 창출하는지 나타내는 비율부동산 가격 대비 연간 수익률을 나타냄높을수록 수익성이 높고, 낮을수록 안전자산 성격이 강함📌 기본 공식:Cap Rate=NOI (순영업소득)부동산 가격×100\text{Cap Rate} = \frac{\text{NOI (순영업소득)}}{\text{부동산 가격}} \times 100Cap .. 2025. 2. 8.
bp (베이시스 포인트)와 퍼센트(%) 차이 및 개념 정리 bp (베이시스 포인트)와 퍼센트(%) 차이 및 개념 정리1. bp (Basis Point, 베이시스 포인트)란?bp(Basis Point, 베이시스 포인트) 는 금리, 운용보수율, 금융상품 수익률 등의 변동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단위입니다.1bp = 0.01% (0.0001 = 1/10,000)✅ 쉽게 말하면:100bp = 1%50bp = 0.5%10bp = 0.1%1bp = 0.01%📌 예시:금리가 2.50%에서 2.75%로 25bp 상승 → 0.25% 증가부동산 펀드의 운용보수가 30bp → 0.30%2. bp(베이시스 포인트)와 %(퍼센트)의 차이구분bp (베이시스 포인트)% (퍼센트)정의1bp = 0.01%1% = 100bp사용 용도금리, 채권 수익률, 펀드 운용보수일반적인 비율 표현계산 방식.. 2025. 2. 7.